2014년 12월 26일 금요일

Mendeley

Mendeley

Introduction

Home

  • https://www.mendeley.com/
    • 웹 기반 자료 접속
    •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하지 않더라도 2GB 까지 무료 제공하지만, 다소 느림.

Tutorial / Inspiration

  • 소개 블로그
    • 논문 관리 프로그램 Mendeley (Sept. 2014)
    • 논문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 (Feb. 2015) 
      •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해주는 툴 (엄밀히 말해 아이디어를 정리 해주는 툴)
      • 레퍼런스를 정리하고 요약하는 툴 
      • 개요를 잡아주는 툴 
      • 글을 보다 쉽게 쓸 수 있게 해주는 툴 
      • Citation을 쉽게 달 수 있게 도와주는 툴

Synchronization between multiple machines

Examples

  • Using Mendeley and Dropbox to sync your pdf library across computers (Aug. 2012)
    • Dropbox를 이용하여 Mac 간의 PDF 파일 동기화 시키기
  • Mendeley in two computers (Nov. 2016 by Carlos Zuluaga)
    • 윈도우 머신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다음의 다섯 단계대로 수행.
      • 1) 두 머신의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이언트 폴더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기. 예를 들어, 두 컴퓨터 모두 dropbox folder를 C:\Dropbox로 잡기.
      • 2) 상기 폴더에 멘들리 폴더를 만들어서 dataDirectory 파일 넣어놓기. (참고: dataDirectory can be found by opening Mendeley, hitting Crtl+Shift+D, Debug Tools tab, and clicking on Open Data Directory.)
      • 3) Mendeley 레지스트리(HKEY_CURRENT_USER\Software\Mendeley Ltd.\Mendeley Desktop)에 문자열 키("dataDirectory")를 생성하고 dataDitectory 폴더 위치를 값으로 지정.(예를 들면, "C:/Dropbox/Mendeley")
      • 4) Mendeley를 구동시켜 보기.
      • 5) 두번째 머신에서도 반드시 상기 1~3번 과정 확인하기. 이후 Mendeley 구동하기.  

Restore Backup

  • 3년 정도 사용하다보니(highlights와 note 등 annotation이 10만개를 훨씬 넘었다), database sqlite 파일이 26MB 정도 되었는데, 가끔씩 annotation synchronization이 빠릿빠릿 동작하지도 않고, 왠지 동기화가 꼬인듯 해서, 나름 최적화 한번 해보려고, database도 건드려보고 backup 기능도 이리저리 해보다가 모든 파일/폴더/노트를 초기화했다. 아예 이참에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모든 논문을 백지상태에서 다시 정리할까도 생각했는데, 폴더를 새로 구성하면서 느껴지는 묵직한 두려움... 2천개가 넘는 논문 파일을 다시 열어서 줄을 긋기는 도저히 무리!라고 정신을 차리고, 미리 대비해서 갖춰둔 backup database가 잘 돌아가기를 기도하면서 실행했지만, 결과는 foreign key constraint failed key라면서 데이터 키값이 맞지 않는다는 둥 원상복구에 실패. 인터넷이나 mendeley support도 유사 답이 없는 것 같아서, database sqlite 테이블을 다 열어서 스스로 해결 했다. sqlite 및 sql에 대해서 얕게라도 알고 있다면 참고하시길. 나름 주말 시간 다 잡아먹은 노력의 산물이니 도움이 되시길.
  • 더불어 이번 기회에 느끼게 된 점.
    • Mendeley는 논문/보고서를 저장하는 공간이나 통로가 아니라, 해당 서지정보에 대한 요약 및 개략정보를 저장/조회하는 도구로서, 이러한 서지정보가 쌓이면서 역시 동기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주석 및 노트가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는 내용만 Mendeley에 넣어놓기.
    • 데이터의 분석결과는 체계적으로 정제된 다른 방식(예: 기술문서)으로 정리하기.
  • mendeley debug 모드 들어가기: 
    • CTRL+SHIFT+D
  • 논문 파일의 로컬 저장소 위치를 변경했을 때, PDF 파일 위치가 깨지면서 열리지 않게 되는 데, 이에 대응해서 파일 위치 일괄 수정하는 방법: database sqlite 파일을 열어서 다음 사항 적용한뒤, mendeley 구동.
    • UPDATE Files SET localUrl=REPLACE(localUrl, "/mendeleyDesktop/", "/mendeleyPapers/"); 
  • 로컬 database sqlite 파일을 이용해, 완전 복구하려면, 다음의 사항을 적용한 뒤, mendeley를 구동. 
    • UPDATE RemoteFileHighlight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UPDATE RemoteFileNote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UPDATE RemoteFolder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UPDATE RemoteDocument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UPDATE RemoteDocumentNote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UPDATE DocumentFolders SET status=REPLACE(status, "ObjectUnchanged", "ObjectCreated"); 
  • Database constraint 경고가 발생할 때의 나름 대처 방법
    • 로그 파일을 찾아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있을 것이다.
      • SqlQuery::handleError: SQL Error:  foreign key constraint failed / Query executed: DELETE FROM Documents WHERE id = :id
    • SQLite DB Browser를 이용해서, XXX@XXX@www.mendeley.com.sqlite 파일을 열고, Documents 테이블에서 해당 id에 대한 레코드를 삭제 한 후 변경사항을 저장하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