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기존 윈도우에서 잘 사용하던 Lyx 환경을 새로운 윈도우 환경으로 옮기면서, MikTeX 패키지 설정에 어려움이 많던차에, 한글도 지원된다고 하는 TexLive로 옮겨타기로 했다.
비교
설치 개요
- 윈도우 10
- TexLive 2016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 http://tug.org/texlive/
- 설치파일(intall-tl-windows.exe) 실행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Install Full) 기본은 full scheme 설정하는 방식: ~3383개
- 잘 설정할 자신이 있다면 small scheme 선택: ~2241개
- 참고 블로그: http://woogyun.tistory.com/533
- Path 설정
- TeX의 실행파일 폴더(예: D:\texlive\2016\bin\win32)를 추가
- 기본 에디터 또는 별도 TeX 편집기 (TeXstudio 또는 Lyx) 설치
- TexLive 기본 에디터는 TeXworks
- http://www.texstudio.org/
- https://www.lyx.org/
- 이외, Texmaker 또는 온라인 LaTeX
- 참고 블로그: http://t-robotics.blogspot.kr/2016/02/latex.html
- TeX 에디터 종류: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TeX_editors
Sample.tex
- https://gist.github.com/chkwon/821ee403b67aa46ee166
- or use the following;
% -*- coding: utf-8 -*-
\documentclass{oblivoir}
\usepackage{kotex}
\title{처음 만든 \LaTeX\ 문서}
\author{고길동}
\begin{document}
\maketitle
처음 만든 \LaTeX\ 문서입니다. 한글을 사용하려면 \verb|\usepackage{kotex}|을 사용해야 합니다.
\end{document}
Figure
- 가급적 벡터 이미지를 사용하기: eps, pdf
- 불가피한 비트맵 이미지: png, tiff
Usage Tips
- 참고 블로그:
- http://stom.chkwon.net/latex/
- http://formal.korea.ac.kr/~jlee/lectures/cnce150/
- .bib 파일은 JabRef을 통해서 관리
- 최종 PDF 출력에는 pdflatex과 PDF image formats이 가장 적당하다고 함.
- 편집 > 환경 설정 > 문서 처리 > 문서 처리 도구 기본값
- 한글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