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샘 라이트스톤, 2012, 한빛미디어
감상평
- 책의 의도(프로그래머에 대한 여러 면모를 쉽게 설명해보겠다)에는 공감한다.
- 그러나 프로그래머 대가와의 인터뷰 내용은 너무 딱딱하거나 생소하며, 책 내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많다는 느낌 만 들게된다.
- 차라리 편집자가 국내 프로그래머에게 글을 청해 작성된 내용이 오히려 생생한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특히, 유영창님의 "어떻게 프로그래머로 살까?" 부분은 적극 일독을 추천함!
Site
- 책소개 링크: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010768
Note
- p34. 망쳐버린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 - 소비자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
- - 아무도 그런 소프트웨어를 원하지 않음
- - 수익을 창출하기까지 너무 오래 걸림
- p35. 소프트웨어의 유용성은 그 소프트웨어를 쓰지 않을 때보다 얼마나 더 빠르고 쉽게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가에 달려있음
- p38. 개발자의 고객은 개발자 자신이 아니라는 것 <- '시장'을 고려해서, 일의 시급성 및 중요성을 판단해야 함
- p67. 추천도서
- - 영작 : Elements of Style
- - 수학 : How to solve it
- - 실제 문제: The Woolsey Papers
- p275. 이미 일정이 늦어졌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p292. 일과 삶의 균형: 희망하는 상태로부터 거꾸로 따져보기
- p479. 피터 드러커의 매지니먼트 : 매니저는 '조직의 성과에 책임을 지는 자'나 '상사'가 아니라 '한 분야의 전문가로서 조직에 공헌하는 사람'
- p495. 유학생이 미국 SW 회사에 구직하는 사례
- - 인터뷰코딩문제: careercup.com
- - <프로그래밍 면접, 이렇게 준비한다>, 2007, 한빛미디어
- p518. Redmine 활용사례
- p527. 프로그래머의 공부
- - Founders at Work
- - Coders at Work
- - Making things Happen
- - Rework, 똑바로 일하라, 21세기북스, 2011
- - Techmeme
- - Hacker News
- - Reddit programming
- - 블로터닷넷
- p578. 프로그래머 고수되는 법
- - 하수: 그럴 리가 없는데요?
- - 고수: 흠 일단 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뭔가 잘못했나 봅니다.
- p580. 프로젝트의 데모는 쇼다. : 데모 = 지금까지 진행된 과정의 결과물 + 고생한 과정
- --> 파워포인트로 프로그램 내부가 동작하는 모습이나 아키텍처를 그럴듯하게 보이도록 애니메이션 기법을 동원하여 비주얼학 보여주고, 적당한 효과음이나 음악을 첨부하거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음
- --> 프로그램의 소스 및 설계 문서들을 종이로 출력 / 바인더 작성
- p583. 제 발 저린 프로그래머들
- - 고객들에게 고해성사 좀 하지 말고, 자신의 제품에 자신감을 가지고 장점에 집중하여 어필하기. 자식자랑 하듯이.
댓글 없음:
댓글 쓰기